전체 글(31)
-
한글 표 글 안넘어 갈 때
자소서 작성중, 이지랄로 피테쿠스ㅡㅡ 내용이 표를 넘어가는데 표가 나뉘지 않고 페이지도 안넘어가짐......;;;;;; 표 우클릭 - 개체 속성에 들어가글자처럼 취급 해제, 두번째 나비 아이콘 클릭 이거만 하면 계속 안넘어가고 있음 표에 들어가 여러 쪽 지원 - 나눔을 클릭하고 설정! 완료! 이렇게 하면 표 내용이 다음 페이지로 안넘어가서 개빡치는 문제 해결~!이제 표에 글자수를 맞추지 말고 내용에 표를 맞추라구~>_
2025.01.22 -
내부 앱 공유 테스트 - Play 콘솔 개발자 설정하는 법
1. Play 콘솔 화면에서 우측 상단 프로필 클릭 2. 프로필을 누르면 뜨는 팝업창에서 설정 클릭 3. 설정 화면 - 정보 클릭 4. Play 스토어 버전 클릭(5회 이상)
2024.02.27 -
경제적 자유로 가는 알고리즘 2
사업이란 제로로부터의 도전이다. 지난 삶을 되돌아보면 내 인생 역시 아무것도 없는 제로의 상태였다. 내게는 사업에 대한 경험도, 지식도, 승산도 없었다. 하지만 나에게는 다른 사람에게는 없는 한 가지가 있었다. 나는 그 누구보다 성공을 갈망했고 오직 성공만을 꿈꿨다. 숱한 밤을 싸워야 할 오늘의 젊은 사업가들에게 묻고 싶다. '당신은 왜 처음 그 일에 뛰어들었는가?' '당신이 꿈꾸던 성공이란 과연 무엇인가?' 이 질문에 답할 수 있다면, 그 누구라도 다시 태어날 수 있다. - 이나모리 가즈오 아무것도 없는 상황에서 시작한 사람들 유튜버 냉철은 20대 초 심각한 가난에 시달리며 살다가 이대로 안되겠다는 결심을 한 후 도서관에서 주식 책을 읽기 시작하였다. 그는 배달 일로 1000만원을 모아서 주식을 시작해..
2024.01.09 -
Android DI 라이브러리 Dagger-Hilt 소개와 사용법
Hilt : Android DI Library Hilt는 Android에서 DI를 사용하기 위한 Jetpack 권장 라이브러리이다. Dagger라는 DI 라이브러리를 기반으로 빌드되어 Dagger를 Android 앱에 통합하는 Standard를 제공한다. 그래서 Dagger와 Hilt는 동일한 코드베이스에 공존할 수 있다. Dagger사용을 Hilt를 통해 관리하는 형식이다. 장점 Android 내 모든 클래스의 컨테이너를 제공하고 자동으로 DI를 구성해주며 수명 주기를 자동으로 관리함으로써 DI를 사용하는 표준 방법을 제공한다. Hilt는 Android Studio에서 지원하는 Dagger의 컴파일 시간 정확성, 런타임 성능, 확장성을 기반으로 빌드되었다. DI를 실행하기 위한 boilerplate 코..
2024.01.05 -
Android DI(Dependency Injection)
안드로이드 개발에 적합한 프로그래밍 기법 장점 코드 재사용 가능 리팩터링 편의성 테스트 편의성 DI 작동 방식(예시) 한 클래스가 다른 클래스를 참조하는 경우, 참조에 필요한 클래스를 dependency라고 한다. Car 클래스 → Engine 클래스( dependency : 종속 항목 ) 3 ways for a class to get an object it needs (클래스가 필요한 오브젝트를 얻는 방법) 필요한 클래스 내부에서 dependency를 만든다. 즉, Car 클래스에서 Engine 인스턴스(구현된 실제 객체)를 생성하고 initialize한다. class Car { private val engine = Engine() fun start() { engine.start() } } fun ma..
2024.01.05 -
마케팅 정복기 1
마케팅 지식이 있으면 쓸데없는 일은 하지 않고 정말로 해야 할 일을 결정할 수 있다. 마케팅을 공부하고 일상 업무에서 꾸준히 사용해 나간다면 개인이라 하더라도 누구나 글로벌 기업에 결코 뒤떨어지지 않는 전략을 펼칠 수 있다. 그런 좋은 무기를 사용하지 않는 다면 너무나 아깝지 않은가? 마케팅이란 무엇일까. 그것은 하나의 전략과도 같다. 근원지가 고객이며, 종착지도 결국 고객인 길이다. 궁극적으로 결국 고객의 선택을 받기 위한 여러가지 궁리끝에 마케팅이란 분야가 탄생했다. 마케팅의 본질은 결국 이것이다. "모든 상품은 반드시 진부해진다"는 것. 이것은 예외 없는 시장의 원리이다. 어떤 상품이든 그대로 두면 반드시 진부화(Obsolescence)되기 마련이다. 지금 부진을 겪고 있는 아이템은 우리 주변에도 ..
2024.0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