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31)
-
[JS] Component children으로 화살표 함수가 선언되는 경우
영상 다운로드 시에, BottomSheet 내부의 컴포넌트가 반복적으로 리렌더링되는 에러를 발견하였다. 리렌더링 되는 부분의 코드는 다음과 같다. setSheetStatus(Math.max(index, 0))} handleComponent={() => } backgroundComponent={() => } children={ () => ( ) } /> 문제가 되는 부분은 컴포넌트의 children이 인스턴스가 없는 화살표 함수로 선언되어 있는 부분이다. 첫번째로 이상한 점은, children은 기본 prop이기 때문에 위와 같이 넘겨주는 것이 관행인데 굳이 prop전달문 안에 children = { } 형식으로 넘겨주는 이유가 불분명하다. 두 번째로 이상한 점은, 굳이 왜 화살표 함수의 형태로 넘겨주는가..
2023.05.09 -
[ Book Review ] 정작 사귀면 힘들어지는 연애 특(연인 사이에 이거 모르면 곧 헤어지자는 뜻임)
사랑을 지속시킨다는 것이 어떻게 가능할 수 있을까? 결혼 후에도 사랑을 지속시키는 비밀은 무엇일까? 인간은 누구나 다른 사람으로부터 사랑받기를 갈망하는 근본적인 욕망이 있다. 이러한 욕구를 단순한 아동기적 현상으로만 치부할 수는 없다. 우리는 중년이 되도, 장년이 되도, 노년이 되도 살아 있는 한 사랑을 계속 필요로 할 것이다. 때문에 연인으로부터 사랑을 받고 싶다는 욕망은 모든 연애의 중심을 이룬다. 한 남성이 내게 "당신의 아내가 당신을 사랑하지 않는다면, 집이나 차나 바닷가의 별장, 혹은 그 밖의 좋은 것들이다 무슨 소용이 있겠습니까?"라고 말했다. 여러분은 그가 진정 무엇을 말하려고 하는지 아는가? "나는 무엇보다도 아내로부터 사랑을 받고 싶습니다"라는 뜻이다. 물질적인 것들이 인간의 사랑을 대신..
2023.05.01 -
노션에서 작성한 글 링크로 공유하는 법(노션 페이지 공유법)
1. 멋진 나의 글을 뚜따뚜따 적는다. 2. 상단 메뉴에 있는 ‘공유’를 클릭한다. 3. 웹에서 공유 토글 버튼을 클릭 4. 웹 링크 복사 클릭 5. 복사해서 카톡이든 팬딩이든 갖다 붙여넣기 하셈 Like This https://wild-gauge-6fa.notion.site/3-684cecf2e0304448995c67b1ea60e2a2 야호 완성 \^~^/
2023.01.27 -
[ Book Review ] 불안(Status Anxiety)
Status Anxiety 지금 보다 더 나은 모습일 수도 있겠다고 생각할 때 우리는 불안을 느낀다. 원제 : status anxiety, 즉, 이책에서 말하는 것은 지위에 대한 불안 이 책에서 말하는 지위란? 세상의 눈으로 본 사람의 가치나 중요성 높은 지위는 자유, 안락, 시간, 남들에게 먼저 배려받고 귀중하게 여겨진다는 느낌을 준다. 우리가 지위를 중시하는 것은 다른 사람들이 우리를 어떻게 보느냐가 자아상을 결정하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세상이 자신을 존중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지 못하면 스스로도 자신을 용납하지 못한다. 지위와 불안감의 상관관계 지위는 우리의 성취에 달려있다. 실패에서 굴욕감이 생긴다. ➡️ 이것은 우리가 세상의 우리의 가치를 납득시키지 못했고 따라서 성공한 사람들을 씁쓸하게 ..
2023.01.18 -
[ Book Review ] 사랑의 기술(The Art of Loving)
더보기 025 그들은 서로 분리되어 있다는 것을 인정하면서도 아직 서로 사랑하는 것을 배우지 못했기 때문에 남남으로 남아 있다. 인간이 분리된 채 사랑에 의해 다시 결합되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의 인식, 이것은 수치심의 원천인 동시에 죄책감과 불안의 원천이다. 그러므로 인간의 가장 절실한 욕구는 이러한 분리 상태를 극복해서 고독이라는 감옥을 떠나려는 욕구이다. 이목적의 실현에 절대적으로 실패할 때 광기가 생긴다. 027 온갖 종류의 '진탕 마시고 떠드는 상태'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는 방법 중 하나다. 잠시 동안 광희 상태에서 외부 세계는 사라지고 동시에 외부 세계와의 분리감도 사라진다. 이러한 의식은 공동으로 거행되므로 집단과의 융합을 경험하게 되고, 이러한 도취적 해결에는 성적 경험이 밀접히 관련되거나..
2022.10.21 -
[ Essay ] 과시적 소비는 우리를 행복하게 하는가?
1. 서론 – 개인의 소비가 어떻게 개인의 가치를 규정하게 되었는가 자본주의 사회에서 상품화할 수 있는 능력과 상품을 살 수 있는 능력은 인간을 정의하는 데 핵심적이다. 자본주의 체제의 생산과 소비는 상품을 중심으로 돌아간다. 사람들의 일상은 소비로 채워지고 사람들은 스스로 상품이 된다. 상품을 구입할 수 있는 능력은 스스로를 상품화할 수 있는 능력과 직결되어 있다. 자신의 능력을 개발하고 잘 상품화할수록 더 많은 상품을 구입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새로운 위계 시스템은 소비력에 따라 결정된다. 현대인들은 자신의 위상을 드높이기 위해서, 가문과 신분 대신 사회 변화에 걸맞는 기능과 자본력을 갖추기 위해서 경쟁한다. 새로운 경쟁의 장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학력 자본을 비롯해 육체 자본, 문화 ..
2022.10.17